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정보들

주택 청약 통장에 대한 정보(청약 1순위 자격요건 등)

by 홍난새 2020. 10. 26.

안녕하세요, 홍난새입니다!

오늘은 주택 청약 통장에 대한 것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저도 얼마 전에 안 정보들이라서 이에 대해 잘 모르시는 20대 초반 분들 또는 사회 초년생이신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글을 씁니다.

이때까지 살아오시면서 주택 청약 통장이란 단어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먼저 "주택 청약 통장"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주택 청약 통장=주택 청약 종합 저축이란, 가입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새로 짓는 아파트를 분양받을 수 있는 자격이 생기는 저축 상품입니다. 주택 청약 종합 저축은 우리은행, IBK 기업은행, 신한은행, KEB 하나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 통장 하나면 공공주택, 임대주택, 민간주택 등 모든 주택에 청약할 수 있으며, 주택 소유 여부나 나이 제한 없이 국내 거주자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즉 주택 소유자나 미성년자도 가입할 수 있으며, 매월 2만 원 이상 50만 원 이하 금액을 5,000원 단위로 납입할 수 있습니다. 단, 1인당 1개의 계좌만 보유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예금상품보다 금리가 높고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예금자 보호법에 의한 예금 보호 대상은 아니지만, 국민주택기금의 자원 조성을 위한 저축 상품이고 이것을 국가가 관리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예금자 보호가 가능한 상품입니다.

청약 통장을 통해 청약할 수 있는 주택이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러한 주택 종류에 따라 청약 저축 1순위 자격이 달라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청약 통장 납입액은 한도에 따라 자유롭게 넣을 수 있지만 자신이 원하는 주택 종류에 따라 납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민영주택은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청약기간이 길수록 가점이 올라가서 당첨될 확률이 높아지지만 국민주택은 저축총액이 많을수록, 납입 횟수가 많을수록 당첨 가능성이 높습니다.

청약 1순위가 되기 위한 자격요건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청약통장 가입기간과 납입횟수 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투기과열지구 및 청약과열지역은 가입 후 2년이 경과해야 하며 24회 납입해야 합니다. 위축지역은 가입 후 1개월이 경과하면 되고, 투기과열지구 및 청약과열지역, 위축지역 외에는 수도권 지역일 경우 가입 후 1년이 경과 & 12회 납입, 수도권 외 지역일 경우 가입 후 6개월이 경과 & 6회 납입해야 합니다.

민영주택은 수도권 기준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1년이 경과하고 예치기준금액을 납입한 자'에게 1순위가 주어집니다. 예치기준금액은 청약을 할 수 있는 최소 통장 금액으로 이 금액은 종합 저축의 경우 청약 바로 직전인 입주자 모집 공고일 당일까지 채워두면 됩니다. 따라서 민영주택만 신청할 계획이시라면 개설 당시에 2만 원만 넣고 청약을 신청할 때 예치 기준금액을 넣기만 하면 됩니다.

예치기준금액은 희망주택의 전용면적,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때 지역은 본인이 "거주"하는 곳(주민등록상)이 기준이라는 점, 유의해주시길 바랍니다. 

국민주택은 수도권 기준 '매월 약정납입일에 월 납입금을 12회 이상 납입한 자'가 1순위 대상이 됩니다. 전용 40㎡ 이하 주택은 총 납입 횟수가 많은 순서로, 전용 40㎡ 초과 주택은 총 납입금액이 많은 순서로 선정됩니다. 따라서 1회당 납입금액이 최대 10만 원이기 때문에 매달 10만 원씩 꾸준히 넣는 게 국민주택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자, 이렇게 주택 청약 통장=주택 청약 종합 저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저도 이제 막 알아가는 단계라 글을 짜임새 있게 못 적은 것 같기도 합니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주택 청약을 통해 '내 집 마련'에 한 발짝 더 다가가 봅시다. 모두들 파이팅!

 

 

 

그럼, 안녕!

 

댓글